CATIA With Me 2018. 4. 24. 11:20

NCS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것


NCS분류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분류는 직무의 유형(Type)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의 전체적인 로드맵을 제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

대분류(24) 중분류(78) 소분류(238) 세분류(897)’의 순으로 구성

 

국가직무능력표준분류도

직업기초능력 영역

하위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기초외국어능력

수리능력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세부 분류기준

분류

   하위능력

대분류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한국고용직업분류 참조)

중분류

대분류 내에서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

대분류 내에서 산업이 유사한 분야

대분류 내에서 노동시장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경력개발경로가 유사한 분야

중분류 수준에서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가 존재하는 분야

소분류

중분류 내에서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

소분류 수준에서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가 존재하는 분야

세분류

소분류 내에서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직업 중 대표 직무



능력단위

직무는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의 세분류를 의미하고

원칙상 세분류 단위에서 표준이 개발

능력단위는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의 하위단위로서 

국가직무능력 표준의 기본 구성요소에 해당 되며, 능력단위요소

(수행준거,지식·기술·태도),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으로 구성

 

수준체계


8수준

해당분야에 대한 최고도의 이론 및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이론을 창조할 수 있고,

최고도의 숙련으로 광범위한 기술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직 및 업무 전반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부여된 수준


7수준

해당분야의 전문화된 이론 및 지식을 활용하여, 고도의 숙련으로 광범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타인의 결과에 대하여 의무와 책임이 필요한 수준


6수준

독립적인 권한 내에서 해당분야의 이론 및 지식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일반적인 

숙련으로 다양한 과업을 수행하고, 타인에게 해당분야의 지식 및 노하우를 전달할

수 있는 수준


5수준

포괄적인 권한 내에서 해당분야의 이론 및 지식을 사용하여 매우 복잡하고 

비일상적인 과업을 수행하고, 타인에게 해당분야의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수준


4수준

일반적인 권한 내에서 해당분야의 이론 및 지식을 제한적으로 사용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과업을 수행하는 수준


3수준

제한된 권한 내에서 해당분야의 기초이론 및 일반지식을 사용하여 다소 복잡한 

과업을 수행하는 수준


2수준

일반적인 지시 및 감독 하에 해당분야의 일반 지식을 사용하여 절차화되고 

일상적인 과업을 수행하는 수준


1수준

구체적인 지시 및 철저한 감독 하에 문자이해, 계산능력 등 기초적인 일반 지식을 

사용하여 단순하고 반복적인 과업을 수행하는 수준



NCS학습모듈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 현장의 

'직무 요구서라고 한다면, NCS 학습모듈은 NCS의 능력단위를 교육훈련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수·학습 자료'.

NCS 학습모듈은 구체적 직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이론 및 실습과 관련된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


능력단위

특정 직무에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능력을 

교육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능 단위로 개발한 것


능력단위요소

해당 능력단위를 구성하는 중요한 범위 안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도출한 것


수행준거

각 능력단위요소별로 능력의 성취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개인들이 도달해야 

하는 수행의 기준을 제시한 것



학습모듈의 활용

산업현장승진/채용 인사노무관리

교육현장: 교육과정 개발/개편, 교수 학습 기본교재




출처: https://www.ncs.go.kr/


 


+)


 직무기술서가 포함하는 내용

채용분야, 능력단위, 직무수행내용, 필요지식, 필요기술, 직무수행 태도, 직업기초능력


경험 경력 기술서에 활용 가능한 서술 방식- STAR방식

S: situation 해당 역량 경험 및 사례에 대한 배경, 환경, 이유 등

T: task 그 상황과 이유로 인해 내가해야 했거나 맡게 되었던 과업

A: action: 그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내가 구체적으로 한 행동 경험

R: result: 그 행동의 결과와 경험을 통해 느낀 점, 얻은 교훈


 자기분석-SWOT분석

내부 환경

(나의 상황)

강점(Strength)

성격적 장점, 개인적 경험, 학업적 성추, 역량

약점(Weakness)

성격적 단점, 학력, 학점 자격증, 외국어 해외경험, 역량 등

외부 환경

(나를 둘러싼 환경)

기회(Opportunity)

학교 내외의 다양한 기회, 가족, 친지, 인맥 등

위협(Threat)

노동, 산업환경, 국가, 사회환경, 지역 등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

S-O 전략

기회를 살리기 위해 강점을 이용

W-O전략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살림

위협(T)

S-T 전략

강점을 이용하여 위협을 피함

W-T 전략

약점을 보완해서 위협을 극복


기업분석-사업 및 경영전반, 사업 및 경영이슈, 인재상 등